지난 글에서는 통일신라 시대의 사회와 문화,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려시대의 교육을 알아보기 전에 고려시대의 사회와 문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려시대의 사회와 문화
1. 고려 전기의 문벌 귀족 사회
918년에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고, 936년에 후삼국을 통일하였습니다. 광종(949~975) 때 왕권이 강화되었고, 성종(981~997)에 중앙집권적 정치 체제를 구축하였습니다. 현종(1009~1031)에서 문종(1046~1083) 시기에 문벌 귀족 사회의 황금기를 구가하였습니다. 하지만, 문벌 귀족 사회가 동요되기도 하고 붕괴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이자겸의 난(1126), 묘청의 난(1135), 무신란(1170)을 겪으면서 문벌 귀족 사회의 붕괴가 시작되었습니다. 또한, 무신정권(1170년(의종 24)~1270년(원종 11))과 원의 내정간섭(1270년 이후)으로 혼란의 시기는 계속되었습니다.
이후 신진 학자 관료 세력이 성장하였습니다. 이들은 지방의 향리나 중소 지주 출신으로, 과거(科擧)를 통해 중앙에 진출하여 권문세족에 맞서는 새로운 세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또한, 신유학인 성리학이 도입되었습니다. 충렬왕(1274~1308) 때 안향(1243~1306)에 의해 처음 고려에 성리학이 소개되었습니다.

2. 불교의 발전
국가종교로서의 불교가 지속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연등회, 팔관회, 인왕도량 등의 불교 행사가 거행되었고, 승과(僧科)를 실시하여 승려를 사회적으로 우대하였습니다. 왕사, 국사 제도도 운영되었습니다.
고승들의 활동도 이루어졌습니다. 대각국사 의천(1055~1101)은 교종인 화엄종과 선종을 통합한 천태종(天台宗)을 창시하였습니다. 보조국사 지눌(1158~1210)은 수선사(修禪社)를 중심으로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를 기치로 한 불교 혁신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3. 예술과 기술의 발전
자기와 건축, 서예, 회화, 천문, 역법, 의학 등 예술과 기술이 발전하였습니다.
4. 인쇄술의 발달
목판 대장경(大藏經)을 제작하고, 서양보다 200여 년 앞선 금속활자를 발명하였습니다. 주자(鑄字)로 「고금상정례(古今詳定例)」를 인쇄(1234)하였습니다. 특히, 「직지심경(直指心經)」(1377)은 고려 금속활자의 우수성을 증명하였습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의 교육 : 사학십이도, 향교, 학당, 서당, 잡학, 과거제도 (0) | 2023.09.22 |
---|---|
고려시대의 교육 : 국자감 (0) | 2023.09.21 |
검사의 측정학적 개념 : 분산도 (0) | 2023.09.15 |
검사의 측정학적 개념 : 집중 경향치 (0) | 2023.09.14 |
검사의 측정학적 개념 : 변수의 의미와 종류 (0) | 202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