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교육 : 사학십이도, 향교, 학당, 서당, 잡학, 과거제도
지난 글에서는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려시대의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학십이도, 향교, 학당, 서당, 잡학, 과거제도를 중심으로 고려시대의 교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려시대의 교육1. 사학십이도최충(984~1068)이 문종 9년(1055)에 송악산 아래에 구재학당(九齋學堂)을 개설하였습니다. 예종·인종 연간 이후 국가교육체제의 일부로 편입되었고, 공양왕 3년(1391) 6월에 폐지되었습니다.구재학당의 교육과정은 구경(九經)과 삼사(삼三史), 그리고 시부(詩賦) 중심의 사장학(詞章學)을 교육하였습니다. 9경은 모시, 상서, 주역과 삼례서(예기, 주례, 의례), 춘추삼전(좌씨전, 공양전, 곡량전)을 뜻하고, 3사는 사기, 한서, 후한서를 뜻합니다.여름 특별 학습 과정인 하과(夏課)도 ..
2023.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