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고려시대교육2

고려시대의 교육 : 사학십이도, 향교, 학당, 서당, 잡학, 과거제도 지난 글에서는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려시대의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학십이도, 향교, 학당, 서당, 잡학, 과거제도를 중심으로 고려시대의 교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려시대의 교육1. 사학십이도최충(984~1068)이 문종 9년(1055)에 송악산 아래에 구재학당(九齋學堂)을 개설하였습니다. 예종·인종 연간 이후 국가교육체제의 일부로 편입되었고, 공양왕 3년(1391) 6월에 폐지되었습니다.구재학당의 교육과정은 구경(九經)과 삼사(삼三史), 그리고 시부(詩賦) 중심의 사장학(詞章學)을 교육하였습니다. 9경은 모시, 상서, 주역과 삼례서(예기, 주례, 의례), 춘추삼전(좌씨전, 공양전, 곡량전)을 뜻하고, 3사는 사기, 한서, 후한서를 뜻합니다.여름 특별 학습 과정인 하과(夏課)도 .. 2023. 9. 22.
고려시대의 교육 : 국자감 지난 글에서는 고려시대의 사회와 문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려시대의 교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려시대의 교육 1. 국자감 1) 창설 = 성종 11년(992)에 창설이 되었습니다. 국자감이 창설되기 전에 기틀이 잡혔는데, 태조 13년(930)에 서경(西京) 학교가 창설되고, 성종 5년(986)에 지방의 주·군·현에서 260명의 학생을 뽑아 개경에서 교육을 했습니다. 성종 8년(989) 4월에 교육성과가 뛰어난 태학(太學)의 조교 송승연(宋承演)을 국자박사(國子博士)에 임명하였습니다. 그 후 성종 11년에 이전의 유교식 학교(대학)들을 새로 개편하여 정식으로 국자감을 창설하였습니다. 2) 문묘의 건립 = 묘학제(廟學制)가 성립되었습니다. 묘학제는 문묘(文廟)와 학당(學.. 2023. 9.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