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성인기3 성인기의 인지 발달 1. 성인기 인지발달이론 1) Schaie(샤이)의 성인기 인지발달단계 모형 - 20년에 걸친 종단적 연구를 통해 발달단계모형 제시 - Piaget(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이론은 '지식획득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며, 지식획득이 비교적 완성되는 청년기까지의 인지발달 밖에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 - 아동 및 청년기와 구별되는 성인기 인지발달의 특징을 '지식사용능력'의 발달로 개념화 : 획득(아동, 청소년기) > 성취(성인 전기) > 책임 및 실행(성인 중기) > 재통합(노년기) 2) Riegel(리겔)의 변증법적 추론 모형 - 성인기 사고의 특징은 변증법적 추론이라고 하는 보다 성숙한 사고양식의 획득에 있음 - 변증법적 추론은 다양한 상황, 대상물, 사람 사이에 내재하는 모순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 2023. 3. 7. 성인기의 신체 발달 1. 성인 전기 - 신체 발달이 완성되는 시기 - 아동기나 성인 후기에 비해 신체적으로 가장 건강한 시기 - 성인 전기 동안의 생활방식(음주, 흡연, 약물, 운동 등)이 중년기나 노년기의 건강상태를 결정한다는 것을 잘 인식하지 못함 2. 성인 중기 1) 감각기능의 쇠퇴 - 시각 : 40~49세 사이에 쇠퇴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밝기에 대한 민감성이 낮아짐 - 청각 : 가장 빨리 감퇴가 나타나는 감각기능으로 40세경에 시작되는데, 고음에 대한 민감성 감퇴를 시작으로 50대에는 저음에 대한 감퇴 시작 2) 건강상태 - 신체구조 및 기능의 변화로 인해 건강이 약화될 수 있음 - 척추 사이의 디스크 감퇴로 신장이 줄어듦 - 피부 탄력이 줄어들고 주름이 생기며 흰머리가 생기고 체중이 늘며, 배가 나옴 - 성인 중.. 2023. 3. 7. 성인기 발달의 의미 1. 발달의 의미 - 발달은 수정 순간부터 시작됨 :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수정체는 체세포의 유사분열과 성세포의 감수분열이라는 세포분열을 시작하는데, 이는 이미 발달이 시작되었음을 의미 - 발달은 성장(growth), 성숙(maturation), 학습(learning)의 상호작용 결과 2. 성인기 발달 이해 시 고려사항 - 발달적 변화의 원인 : '연령'이 이전의 시기보다 큰 영향력을 갖지 못함 - 노쇠(decline)의 해석 : 청년기까지의 발달은 양적으로 증가하고 기능적으로 유능화되는 긍정적 변화를 의미하였으나 성인 후기부터 나타나는 노쇠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의 문제가 대두됨 - 그래서 새로운 관점의 정립 필요 : 아동기와 청년기의 발달을 설명하는 도식으로 성인기의 발달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함. 3... 2023. 3. 6.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