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성인기의 인지 발달

by currere 2023. 3. 7.
728x90

1. 성인기 인지발달이론

1) Schaie(샤이)의 성인기 인지발달단계 모형

- 20년에 걸친 종단적 연구를 통해 발달단계모형 제시

- Piaget(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이론은 '지식획득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며, 지식획득이 비교적 완성되는 청년기까지의 인지발달 밖에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

- 아동 및 청년기와 구별되는 성인기 인지발달의 특징을 '지식사용능력'의 발달로 개념화 : 획득(아동, 청소년기) > 성취(성인 전기) > 책임 및 실행(성인 중기) > 재통합(노년기)

2) Riegel(리겔)의 변증법적 추론 모형

- 성인기 사고의 특징은 변증법적 추론이라고 하는 보다 성숙한 사고양식의 획득에 있음

- 변증법적 추론은 다양한 상황, 대상물, 사람 사이에 내재하는 모순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 안정된 균형을 지향하기보다는 문제상황과 그 해결양상이 내포하고 있는 불완전성과 애매성을 강조하고, 갈등과 변화발달의 본질로 봄

3) Arlin(아르린)의 문제발견모형

- Piaget의 형식적 조작 사고*는 문제해결에 국한되는 데 반해 성인기 인지발달은 문제발견이 주가 되는 데에서 근본적 차이가 있다고 주장   * 가설적이고 추상적인 사상과 개념을 논리적으로 다룰 수 있고, 형식논리에 의해 사고할 수 있는 정신 능

- 문제발견능력은 형식적 조작 사고가 획득된 후에 발달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해냄으로써 인지발달의 제 5단계인 문제발단계의 존재를 입증함

 

2. 성인기 인지능력의 변화

1) 지능의 변화

- Cattell(카텔)의 유동성(fluid) 지능과 결정성(crystallized) 지능

유동성 지능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지적 능력으로서 뇌신경의 성숙에 의해 발달하며, 뇌세포의 손상과 쇠퇴에 의해 감퇴되는 지능(언어유추, 단순 암기력 등)
결정성 지능 후천적 경험, 학습, 문화적 영향에 의해 습득되는 지능으로서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노년기까지 계속 발달함(어휘력, 수리력, 일반 지식 등)

- Cattell과 Horn(혼)에 의하면 유동성 지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퇴하는 반면, 결정성 지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함

- 지능의 감퇴는 반응속도의 둔화 때문임

- Horn은 유동성 지능도 결정성 지능만큼 학습에 의해 변화가 가능하며, 결정성 지능도 유동성 지능만큼 유전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

2) 기억력의 변화

- 기억력 감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대뇌의 기능노화되어 신경세포가 감소하고 신경전달물질의 농도가 묽어져 신경전달속도가 느려지기 때문

- 기억정보를 활성화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 즉, 정보처리속도가 길어짐에 따라 기억력이 감퇴한 것으로 느낄 수 있음

- 기억과제의 연습량 감소도 기억력 감퇴의 원인일 수 있음

- 단기기억능력의 감퇴는 정보처리능력의 감퇴 때문으로 추정

※ 노인성 치매
- 치매(dementia)는 노년기에 인지적 기능을 상실하는 병리현상
- 기억상실, 대화의 산만함, 장소와 시간의 인지 상실, 성격변화 등 여러 측면의 심리적 기능의 파괴를 수반함
- 치매의 진행단계 : 가벼운 망각(사람 이름, 장소 등에 대한 망각) > 일반적 혼돈(뚜렷한 단기기억의 결함, 우울증, 대인기피) > 기억력 파괴(분노, 편집증세, 의사소통 불가능, 친척들 얼굴을 못 알아봄)

3) 지혜의 발달

지혜 - 인생의 중요하면서도 불확실한 사태에 대해 좋은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
- 인생의 복잡하고 불확실한 사태에 있어서 뛰어난 통찰력과 판단력을 가능케 하는 전문적 지식

- 지혜의 구성요소 : 사실적 지식, 방략*적 지식, 삶의 맥락에 대한 지식, 삶의 불확실성에 대한 지식, 삶의 상대성에 대한 지식(독일 Max Planck 연구소의 지혜 모형)   * 방략 : 일을 꾀하고  나가는 방법과 계략

- 지혜는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개념이 아니라 측정이 가능한 성인기 인지적 능력의 한 측면

- 동양에서는 삶의 의미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강조

※ 죽음의 이해
- 삶과 죽음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
- 죽음에 대한 심리적 인식의 변화 과정 : 부정(denial)(장차 죽는다는 것을 믿지 않음) > 분노(anger)(모든 것에 비판적이고, 신에 분노) > 타협(bargaining)(생명연장이나 고통감소를 위해 여러 약속을 함) > 우울(depression)(생명 상실과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이별 아픔을 극복하기 위한 필수적 과정) > 수용(acceptance)(평화롭게 죽음을 맞이할 준비가 됨)
728x90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4) 2023.03.07
미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0) 2023.03.07
성인기의 신체 발달  (0) 2023.03.07
성인기 발달의 의미  (0) 2023.03.06
교육과정의 유형  (0) 2023.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