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인 전기
- 신체 발달이 완성되는 시기
- 아동기나 성인 후기에 비해 신체적으로 가장 건강한 시기
- 성인 전기 동안의 생활방식(음주, 흡연, 약물, 운동 등)이 중년기나 노년기의 건강상태를 결정한다는 것을 잘 인식하지 못함
2. 성인 중기
1) 감각기능의 쇠퇴
- 시각 : 40~49세 사이에 쇠퇴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밝기에 대한 민감성이 낮아짐
- 청각 : 가장 빨리 감퇴가 나타나는 감각기능으로 40세경에 시작되는데, 고음에 대한 민감성 감퇴를 시작으로 50대에는 저음에 대한 감퇴 시작
2) 건강상태
- 신체구조 및 기능의 변화로 인해 건강이 약화될 수 있음
- 척추 사이의 디스크 감퇴로 신장이 줄어듦
- 피부 탄력이 줄어들고 주름이 생기며 흰머리가 생기고 체중이 늘며, 배가 나옴
- 성인 중기에 정서적으로 평화로우며, 자기통제가 잘 되어 있고 책임감이 있는 사람이 건강함
- 개인의 성격 및 적응유형이 심장병이나 고혈압과 같은 순환계 질환과 암의 발병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
※ A형 성격과 질병
- A형 성격의 사람은 성격이 급하고, 일에 대한 욕심이 많고, 경쟁적이고, 부지런하며, 속도를 중요시하는 사람
- A형 성격의 사람은 성취욕과 경쟁심이 강하기 때문에 자신이 모든 일을 다 끌어안고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음
- 그 결과 자신도 모르게 일에 몰두하여 휴식을 멀리 하게 되고, 그럴수록 심신의 긴장과 고통이 알게 모르게 쌓여 심장질환 등 신체적 질병을 갖게 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함
3) 성적 변화
- 여성의 폐경 :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 사이에 나타나며, 폐경을 전후하여 여러 갱년기 증상이 나타남
- 남성도 남성호르몬 분비의 감소로 성욕 감퇴와 더불어 심리적 의욕 감퇴, 불안, 초조 등의 갱년기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남성호르몬의 감소는 극히 미미하여 갱년기 장애는 생리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쇠퇴를 지각하는 심리적 반응에 기인한 것으로 보는 것이 우세함
3. 노년기
1) 신체적 노화
- 척추디스크 감퇴로 키가 급격히 줄고, 등뼈가 굽기도 함
- 뇌의 무게는 노년기까지 10% 정도 감소함
- 시냅스 전달기제의 둔화로 뇌의 기능이 느려져 정보처리 속도를 떨어뜨림
- 전체 수면시간이 줄어듦
- 시각적 민감성, 색깔 변별능력 등이 현저하게 손상
2) 노화의 유형 및 원인
① 1차적 노화 : 인체의 내재적인 생물발생학적 과정으로 인한 노화
- 마모 이론 : 장기간 인체를 사용한 결과
- 유전적 계획이론 : 노화는 세포의 생존과 죽음에 의한 것
- 면역 이론 : 노년기 면역체계의 변화로 인한 것
- 노화시계 이론 : 죽음호르몬의 영향 가정
- 유전적 변이 이론 : DNA의 손상수선체계의 쇠퇴 결과
② 2차적 노화 : 신체의 사용 정도, 질병, 장애와 같은 통제 가능한 외적 요인으로 인한 노화
3) 노화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 스트레스
- 과중한 스트레스는 신체적 질병을 유발하고 신체의 노화 속도를 촉진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나름대로의 방법(취미활동, 운동, 명상, 요가 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필요함
② 운동
- 운동은 심장혈관과 신경계를 기능적으로 만들고, 지적 능력의 유지와 관련이 있음
-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운동은 노화 속도를 늦출 뿐 아니라 학습활동의 유지에도 도움이 됨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0) | 2023.03.07 |
---|---|
성인기의 인지 발달 (0) | 2023.03.07 |
성인기 발달의 의미 (0) | 2023.03.06 |
교육과정의 유형 (0) | 2023.03.05 |
교육과정의 세 측면 (0) | 202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