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과정3

교육과정의 유형 1. 공식적 교육과정 - 공적 계획의 형태로 공식화된 교육과정 - 고시, 지침, 자료, 계획서 등과 같이 다양한 수준의 매체로 문서화된 교육과정 - 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지원 방안이 제도화된 교육과정 - 형식적 교육과정, 계획된 교육과정, 구조화된 교육과정 등 맥락에 따른 명칭 사용 - 공식적 교육과정으로서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지역 수준 교육과정, 학교 수준 교육과정 - 근래들어 비공식적 교육과정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경향 - 공식적 교육과정이 근간을 이루고 비공식적 교육과정이 보조, 보완하는 관계 ※ 국가교육과정의 법적 근거 - 초중등교육법(1997년 제정) 학교는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함(제23조1항) 교육부장관이 교육과정의 기준과 내용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함(같은 조, 2항) 교육감은 지역 실.. 2023. 3. 5.
교육과정의 세 측면 교육과정은 시간 순서상,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과정(실행)으로서의 교육과정, 결과로서의 교육과정이라는 세 측면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계획은 학생의 현재와 미래, 실행과 결과 간의 간극에 기반하며, 실행은 계획과 결과를 매개하는 실제적 과정이고, 결과는 계획 수립과 실행 평가의 기준이 된다. 1.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은 교육목적으로부터 도출 계획은 교육목적을 시간 속에 펼쳐 놓은 청사진 교육의 과정은 과거(교육과정)를 가르쳐 학생의 미래를 준비 - 계획은 교육내용, 활동, 그리고 결과에 대한 고려를 포함 계획은 교육내용을 통한 마음의 형성을 겨냥 교육의 과정에서 '계획'은 '결과'를 염두에 둔 계획 - 계획은 실현 가능성 보다 내적 완결성 여부에 관심 행동적 결과는 교육의 가능성.. 2023. 3. 5.
교육과정이란? 교육과정의 개념과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0. Portelli(1987)의 교육과정 정의에 관한 연구 - 공식 문헌에서 전문적 사용례를 조사한 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200여개 이상의 정의가 존재-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은 내용(content), 경험(experience), 계획(plan)으로 분류- 교육과정을 하나의 정의에 고정하는 것은 비경제적. 교육과정의 풍부한 개념을 훼손하는 것임 1. 교육과정의 정의 [통상적 정의] - 교육과정의 지칭 대상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문서, 교과서, 교육내용, 교과목 교사의 교수 계획,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내용 목록, 학교 문서, 각종 보고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교수학습 모형, 교사-학생 간의 상호작용 학생의 수업 경험, 학업 성취, 학습의 결과 -.. 2023. 3.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