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것은 교육자의 핵심 역량 중 하나입니다. 학습자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경험을 제공하려면 어떤 교수 전략을 활용해야 할까요? Robert Gagné는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9가지 수업 사태(Nine Events of Instruction)>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Gagné의 9가지 수업 사태는 학습의 인지 과정을 반영한 단계적 교수설계 모델로, 강의를 설계하는 데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됩니다. 오늘은 이 9단계를 활용하여 실제 강의를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Gagné의 9가지 수업 사태란?
Gagné의 9가지 수업 사태는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강의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교수학습 모델입니다. 이 9단계는 학습자의 주의를 끌고, 새로운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학습 내용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단계 | 설명 | 실제 적용 방법 |
1️⃣ 주의 집중(Gain Attention) |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학습 준비 상태를 만듦 | 질문 던지기, 흥미로운 이야기, 영상 활용 |
2️⃣ 학습 목표 제시(Inform Learners of Objectives) |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이해하도록 유도 | “오늘 배울 내용은…”과 같이 목표를 명확히 설명 |
3️⃣ 선행 지식 활성화(Stimulate Recall of Prior Learning) | 새로운 학습 내용과 기존 지식 연결 | 사례나 질문을 통해 기존 지식을 떠올리게 유도 |
4️⃣ 자극 제공(Present the Content) | 핵심 개념을 명확하게 전달 | 강의, 시각 자료, 실습 자료 활용 |
5️⃣ 학습 안내 제공(Provide Learning Guidance) | 학습자가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움 제공 | 예제, 단계별 가이드, 피드백 제공 |
6️⃣ 연습 유도(Elicit Performance) | 학습자가 직접 연습할 수 있도록 유도 | 퀴즈, 토론, 실습 활동 |
7️⃣ 피드백 제공(Provide Feedback) | 학습자의 이해도를 평가하고 피드백 제공 | 정답 설명, 추가 자료 제공 |
8️⃣ 평가 수행(Assess Performance) | 학습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확인 | 테스트, 과제, 발표 등 평가 활동 진행 |
9️⃣ 파지 및 전이 촉진(Enhance Retention and Transfer to Job) | 학습 내용을 실생활과 연결하여 장기 기억으로 정착 | 실제 사례 적용, 과제, 추가 학습 자료 제공 |
Gagné의 9가지 수업 사태를 적용한 강의 설계 예시
📌 예시: 직장 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스킬 교육
1️⃣ 주의 집중(Gain Attention)
- “직장에서 동료와의 의사소통 때문에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나요?”라는 질문을 던지기
- 실제 직장 내 커뮤니케이션 실패 사례 영상 보여주기
2️⃣ 학습 목표 제시(Inform Learners of Objectives)
- “오늘 강의에서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배우고 실습해 볼 것입니다.”
3️⃣ 선행 지식 활성화(Stimulate Recall of Prior Learning)
- “지난번 강의에서 배운 ‘적극적 경청(active listening)’ 개념을 기억하시나요?”
- “그때 배운 내용을 활용해서 오늘 실습해보겠습니다.”
4️⃣ 자극 제공(Present the Content)
-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예: 비언어적 표현, 경청 기술 등) 설명
- 사례 연구와 함께 핵심 개념 소개
5️⃣ 학습 안내 제공(Provide Learning Guidance)
- “이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3가지 핵심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6️⃣ 연습 유도(Elicit Performance)
- 롤플레잉(Role-playing) 활동: 학습자들이 짝을 지어 실제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연습
-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개선할 점 발견
7️⃣ 피드백 제공(Provide Feedback)
- 강사가 직접 피드백 제공: “말할 때 눈을 맞추면 더 신뢰감이 생깁니다.”
- 동료 평가 시스템 도입
8️⃣ 평가 수행(Assess Performance)
- 실습 활동 후 간단한 퀴즈 진행
- 역할극을 통한 실전 평가
9️⃣ 파지 및 전이 촉진(Enhance Retention and Transfer to Job)
- “다음 회의에서 배운 내용을 직접 적용해 보세요.”
- 추가 참고 자료 제공
Gagné의 9가지 수업 사태를 활용한 교수설계 팁
✅ 학습자 중심의 설계
Gagné의 9단계는 교수자의 강의 중심이 아니라 학습자가 학습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시각 자료 활용
슬라이드, 영상, 인포그래픽 등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하면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연습과 피드백 강화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한 연습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 평가와 전이 전략 포함
단순히 강의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실생활이나 직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Gagné의 9가지 수업 사태는 강의 설계에서 매우 유용한 프레임워크로,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효과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실제 강의나 기업 교육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션러닝(Action Learning) : 정의, 구성 요소, 교수법 및 실제 사례 (0) | 2025.02.23 |
---|---|
블렌디드 러닝과 플립러닝의 차이점 및 효과적인 활용 방법 (0) | 2025.02.20 |
ADDIE 모형 : 체계적인 교수설계의 5단계 완벽 가이드 (0) | 2025.02.17 |
고려시대의 교육 : 사학십이도, 향교, 학당, 서당, 잡학, 과거제도 (0) | 2023.09.22 |
고려시대의 교육 : 국자감 (0) | 2023.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