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교육을 위해서 인간 이해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인간을 이해하는 방식들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오늘은 인간을 이해하는 방식, 특히 과학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간 이해의 방식
1. 3가지 수준의 인간 이해 방식
인간을 이해하는 방식에는 상식적 이해의 수준, 과학적 이해의 수준, 공감적 이해의 수준의 3가지 수준의 방식이 있습니다.
1) 상식적 이해의 수준 = 특성, 집단이나 지역, 나와의 유사성 등에 비추어 이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2) 과학적 이해의 수준 = 학문적 지식에 근거하여 각종 심리검사를 통하여 이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3) 공감적 이해의 수준 =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이해하는 것을 말하며, 그의 감정, 경험, 생각, 주관적 세계들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해한 바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까지 포함합니다.
2. 과학적 이해를 위한 여러 방법들
1) 행동관찰 = 측정/관찰 가능한 행동을, 사전에 미리 계획하여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때 관찰자는 피검자(자기 자신), 가족/교사 등 주변인, 상담자 등이 될 수 있습니다. 1일 섭취 음식 칼로리, 운동시간, 일주일간 컴퓨터 사용시간, 학습분량 등 구체적인 행동빈도를 관찰하여 기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장점으로는 학습자의 호소문제나 문제행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상담목표를 관찰가능한 학습자의 행동으로 설정하여 개입효과를 평가할 수 있으며 행동관찰 그 자체가 교육방법, 상담방법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생애사적 자료 = 피검자가 보고하거나 역사적 기록으로 남아있는 개인 자료를 활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학교생활기록부, 이력서, 직장 인사기록자료, 자서전, 일화기록지, 접수면접, 상담신청서에 기록한 생애사적 자료 등이 있습니다.
3) 생리학적 측정자료 = 체온, 근육수축, 혈압 등 비자발적인 신체적 기능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4) 표준화 검사 =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개발된 검사를 사용하여, 표준화된 조건 하에서 피검자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수능 사회탐구영역, 커리어넷 직업흥미검사, 체력검사 윗몸일으키기 등이 있습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삼국 시기의 교육 (0) | 2023.09.02 |
---|---|
고대 삼국 시기 사회와 문화 (0) | 2023.09.02 |
인간 이해와 관점 (1) | 2023.08.26 |
인간이해와 교육 이야기 (1) | 2023.08.25 |
교육사에 대한 이해 : 정의, 공부하는 목적 (2) |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