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인간이해와 교육 이야기

by currere 2023. 8. 25.
728x90

인간을 교육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인간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심리검사를 사용하는 것은 인간을 더 잘 이해하고 교육하기 위한 활동이므로, 오늘은 교육과 인간은 무엇인지, 교육에서 말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녀-이미지
기도하는 소녀 (출처 = 픽사베이)

 

인간 이해와 교육

1. 교육이란

교육내용, 교육목적, 교육방법이라는 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교육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교육을 통해 육성하려는 바람직한 인간상에 대한 이해, 바람직한 인간을 길러내는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1)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고(敎) + 태도와 품성 등을 기르는(育) 활동을 말합니다.
2) 교육목적을 중심으로 = 사회문화의 계승과 국가발전 및 경제발전의 수단으로의 활동, 개인의 잠재 가능성 실현과 민주적 인격 개발을 위한 활동을 말합니다.
3)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를 말합니다.
 

2. 인간이란

교육은 인간을 다양한 측면과 각도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서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여러 학문과 학자들은 인간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였습니다.
1) 종교, 철학 분야 = 이성적, 영적, 사회적, 정치적 존재라 명명하였습니다.
2) 칸트(Kant) = 교육적 존재(교육이 사람을 사람답게 한다)로 정의하였습니다.
3) 후기 현대철학 = 주체적/자기 형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사회적/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규범적/합리적 존재로서의 인간으로 명명하였습니다.
4) 심리학, 사회학, 생리학, 문화인류학 =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 유희의 동물, 웃을 줄 아는 동물, 언어적 동물, 비판적 사고의 동물이라 칭했습니다.
 

3. 교육에서의 이상적 인간상

교육은 그 시대와 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하며, 이상적인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바람직한(이상적인) 인간상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교육 목표와 방향이 결정됩니다.
1) 인본주의 심리학(매슬로, Maslow) = 자아실현인
2) 인간중심상담이론(로저스, Rogers) =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Fully functioning person)
3) 특질이론(올포트, Allport) = 성숙한 인격
4) 신(新) 정신분석파(프롬, Fromm) = 생산적인 사람
 

4. 교육학과 인간의 변화

교육은 의도적이고 계획적으로 인간을 변화시키려고 합니다. 하지만 의도하지 않은 요인에 의해 교육적 변화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이를 잠재적 교육과정(latent curriculum)이라고 합니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의도한 바가 없으나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 학교의 물리적 조건, 제도 및 행정조직, 사회심리적 상황을 통하여 갖게 되는 경험을 말합니다. 학생의 주관적인 지각과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교의 환경적 조건들이 어떤 교육적 의미를 지니는지 면밀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