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문화교양학16

취미와 사회관계 과거부터 취미 생활은 시작되었습니다. 현대에도 취미 생활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흔히 취미는 노동의 세계와는 분리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정도의 노동을 수반하기도 하며, 나아가 취미가 직업이 되거나 새로운 사업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촉진자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취미생활이 노동, 소비, 사회관계, 정체성 등 다른 문제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취미와 사회관계 1. 취미와 직업 취미가 직업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취미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몰입하여 하는 행위이다보니 일에 대한 좋은 훈련장이 됩니다. 취미와 일 사이의 경계는 상당히 모호하며 취미의 세계가 직업의 세계, 노동의 세계와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2. 취미와 사회관계 취미는 사람들을 엮어 주는 중.. 2023. 9. 6.
취미와 사회적 인간 : 심층놀이 인류학자 기어츠는 발리섬의 닭싸움에 대한 글에서 심층놀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습니다. 오늘은 취미와 사회성 간의 관계, 심층놀이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층놀이 1. 취미의 사회성 취미는 근본적으로 사회적 행위입니다. 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의 구분이라든지 이른바 '국민취미'나 '엽기취미'의 존재가 그를 반영합니다. 또 취미를 행하는 방식에 따라 정상과 일탈의 경계에 놓이기도 합니다. 결국 취미생활은 한 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할 수밖에 없으며 사회규범을 통해 평가받습니다. 하지만 취미생활을 통해 자신만의 경지를 이룬 사람이나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찾은 사람에 대해서는 사회적인 인정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2. 기어츠의 심층놀이 개념 인류학자 기어츠는 발리 섬의 닭싸움에 대한 글에서 심층놀이라는 개념.. 2023. 9. 5.
취미와 여가의 필요성 산업화 이후 현대인의 삶에서 취미의 역할은 중요해졌습니다. 현대인의 삶에서 취미가 지니는 의미와 취미, 여가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취미와 여가의 필요성 1. 취미와 산업사회 취미는 여가시간을 생산적이고 가치 있게 보내기 위해 행하는 것입니다. 겔버는 취미가 19세기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여가란 서구의 자유시장, 자본주의를 떠받치기 위한 문화적 구조물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즉, 취미는 자본주의적 노동윤리와 자유시장의 가치를 대표하는 것으로서 일과 집을 매개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성에게는 일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게 해 주고, 남성에게는 일의 세계에서 필요한 일을 습득할 수 있는 장으로 기능하였습니다. 취미를 자본주의에 대한 저항으로 보는 관점과 반대로 자본주의 사회의 소외된 노동에 따른 현.. 2023. 9. 4.
한국의 세대담론, 주요 용어 만하임은 세대를 구분할 때 '특정한 개인들의 코호트를 의식적인 연령 단층으로 묶어주는 집합기억인 트라우마적 사건'을 매개로 세대를 구분하고, 이것을 실제세대로 규정한다고 하였습니다. 만하임의 정의에 따라 한국의 세대를 규정하고 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 세대담론 1. 한국 세대와 관련된 영화 영화 , , 에 등장하 상이한 세대들은 산업화, 민주화, 정보화와 신자유주의라는 상이한 기층경험과 트라우마적인 사건들을 겪었습니다. 따라서 각 세대들은 다른 세대들과 생각과 이해관계가 다를 개연성이 높습니다. 2. 한국의 세대담론 1) 산업화 세대 = 산업화 세대는 한국전쟁을 경험한 1930년 경이나 1950년 경에 출생한 사람들로 산업화가 추진된 시대를 살았습니다. 이들의 담론으로는 국가, 가족, 성장제일주.. 2023. 9.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