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역사가 시작되었을 때부터 취미는 존재해 왔다고 합니다. 오늘은 취미의 의미와 그 역사적 변화를 살펴보며, 취미의 개념이 오늘날과 같은 의미를 지니게 된 배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취미란 무엇인가
1. 취미의 개념
사전적 의미의 취미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취미는 ① 전문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즐기기 위하여 하는 일, ② 아름다운 대상을 감상하고 이해하는 힘, ③ 감흥을 느끼어 마음이 당기는 멋이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오늘날 취미라고 하면 보통 ①의 의미로 사용되며, 생계나 직업을 위한 활동이 아닌 스스로의 즐거움을 위한 여가활동이라고 규정짓고 있습니다.
2. 취미 개념의 변화
앞서 오늘날의 취미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취미 개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유럽 문화에서 = 취미라는 말은 원래 미각을 뜻하는 말이었습니다.
2) 17세기 중반 스페인 = 자발적이고 직접적으로 곧바로 행동을 선택하는 것, 그리고 참된 것의 가치를 간파할 수 있는 일종의 판단능력이라고 보았습니다.
3) 프랑스 도덕주의자들 = 사교생활 안에서 어떤 미적인 부분이라고 보았습니다.
4) 18세기 영국 = 취미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습니다.
5) 철학자 칸트 = [판단력 비판]에서 미를 판단하는 능력으로 취미를 규정하였습니다.
3. 취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발전
취미는 힘든 노동에 지친 몸을 치유하고 더 나은 상태로 일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라는 인식이 확고해졌는데, 아래와 같은 인식의 발전을 이룩하였습니다.
1) 18세기에 취미활동은 종종 다른 것보다 우선시 되는 일로 여겨졌고 과도하게 몰입하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2) 산업화의 영향으로 취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발전하였습니다.
3) 산업화는 일과 여가의 분명한 분리를 낳았습니다.
4) 여가라는 개념이 분명해지면서 수동적 여가와 능동적 여가를 나누는 인식이 생겨났습니다.
5) 여기서 취미가 생산적으로 여가를 보내는 방식, 즉 능동적 여가활동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습니다.
4. 취미에 대한 겔버의 견해
취미는 근대화, 산업화, 자본주의의 확대와 같은 요소의 기반 위에서 삶에서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겔버는 취미가 노동윤리와 자유시장의 가치를 담고 있는 것이라고 풀이하였고, 일의 세계와 집을 매개해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여성에게는 남성의 영역이었던 일의 세계를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남성에게는 비인격적인 공장이나 사무실의 일과는 다른 신선한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일의 세계에 필요한 기술이나 가치를 고스란히 재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5. 우리나라에서의 취미 개념
우리나라에 서구적 취미의 개념은 1900년대 초반 무렵 전해졌고, 1920년대에 이르러서야 오늘날과 같은 취미의 개념이 분명하게 정착되었습니다.
'문화교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미 역사 연구 : 사냥에서 낚시로의 변화 (0) | 2023.09.01 |
---|---|
취미 역사 연구 : 수집품의 변화 (0) | 2023.09.01 |
세대의 개념, 관련 용어, 둘러싼 쟁점 (0) | 2023.08.28 |
인류학적 문화 개념의 발전 (0) | 2023.03.05 |
문화의 뜻과 다원적 문화 개념의 등장 (0) | 2023.03.05 |